직장인 86%, “나는 감정 노동자”…감정을 숨겨야 하는 이유는?
경제 2015/11/17 11:00 입력

ⓒ pixabay
직장인 10명 중 9명, “나는 감정 노동자”…감정을 다스리기 어려운 순간은 언제?
[디오데오 뉴스] 직장인 10명 중 9명은 회사 내에서 본인의 감정을 잘 드러내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170명을 대상으로 ‘현재 직장에서 감정노동을 한다고 생각하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86.2%가 ‘하고 있다’고 답했다.
감정노동이라고 하면 전화 상담원 등 고객을 상대해야 하는 특정 직업들을 주로 떠올리지만, 동료들과 업무 중 충돌하는 상황에서 억지로 참거나 심지어 좋은 감정도 편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연기하듯 행동하는 것도 감정노동의 일환이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숨기는 감정으로는 ‘분노’(69.9%, 복수응답), ‘섭섭함’(55.2%), ‘우울/슬픔’(41.8%), ‘질투’(27%), ‘기쁨’(11.5%), ‘즐거움’(10.5%) 등으로, 대체로 부정적인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을 숨기는 이유로는 ‘상황이 더 악화될 것 같아서’(48.1%, 복수응답)와 ‘괜한 오해를 받기 싫어서’(47.7%)가 1, 2순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불이익을 당할 것 같아서’(41.1%), ‘공과 사를 구분하는 것이 편해서’(33%), ‘감정적인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어서’(24.9%), ‘감정 표현을 하지 못할 만큼 지쳐있어서’(17.5%), ‘주변의 관심을 받고 싶지 않아서’(17.1%), ‘표현하는 것이 어색해서’(10.6%), ‘상대를 견제하기 위해서’(6.3%) 등을 들었다.
하지만 감정을 숨기는 것으로 인해 98.3%는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응답자 91.3%는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는 것이 질병으로 이어졌다고 답했으며, 이들은 ‘만성피로’(21%, 복수응답), ‘소화불량’(18.9%), ‘두통’(18.6%), ‘수면장애’(12.7%), ‘우울증’(12.1%) 등을 호소했다.
직장에서 표정관리나 부정적 감정을 숨기는 것의 필요성에 대해 무려 89.4%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해서’(60.6%,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으며, 계속해서 ‘전체 분위기를 생각해야 해서’(47.9%), ‘공과 사를 구분하는 것이 필요해서’(41.1%), ‘이미지 관리를 위해서’(33.7%), ‘평가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서’(29.7%), ‘프로라면 당연한 거라서’(18.1%) 등이 있었다.
실제로 전체 응답자의 72.8%는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냈다가 손해를 본 경험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감정을 다스리기 어려운 순간을 묻는 질문에는 ‘내 잘못이 아닌데도 오해를 살 때’(56.5%, 복수응답), ‘기분 나쁜데 괜찮다고 해야 할 때’(46.2%), ‘부당한 차별을 받았을 때’(41.9%), ‘상대에게 억지로 져줘야 할 때’(28.4%), ‘싫어하는 사람과 협업해야 할 때’(28.1%), ‘몸 상태가 좋지 않을 때’(27.8%) 등의 답변이 있었다.
온라인뉴스팀 press@diodeo.com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