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캠프, ‘먹튀방지법’ 수용 “정당의 이익보단 국민 참정권이 중요하다”
정치 2012/10/31 20:34 입력 | 2012/11/01 09:47 수정

사진=문재인 후보 공식사이트

골목상권 살리기 운동대회에 참석한 대통령 후보들. 사진=문재인 후보 공식사이트
문재인 후보가 이른바 ‘먹튀방지법’을 받아들이면서 투표시간 연장을 재차 주장했다.
‘먹튀방지법’이란 대선후보 중도사퇴시 정당 선거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도록 하는 법안이다. 앞서 야권2인방이 합심해서 투표시간 연장을 주장하자, 지난 29일 이정현 새누리당 공보단장은 기자간담회에서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는 “대선후보로 나선 사람이 혈세 150억원을 먹고 튀는 것을 방치하는 것은 문명국가가 아니다”며 “대선후보가 국민 혈세를 먹고 튀는 것을 막기 위한 ‘먹튀 방지법’과 ‘투표시간 연장법’을 동시에 국회에서 논의, 처리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재인 캠프는 31일 민주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문 후보는 새누리당 요구를 대승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며 “정당의 이익보다 국민 참정권을 지키는 것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여당이 투표시간 연장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었던 이유는 또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야권2인방이 박 후보보다 젊은층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는데, 그들의 투표율이 중장년층에 비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결국 투표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젊은 층의 투표를 장려하는 것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허나 문재인 캠프가 여당의 요구를 받아들여 버리자, 새누리당은 ‘투표시간 연장’에 대해 반대하기 애매해진 것이다. 이로써 이번 사안이 받아들여져 선거에 실제로 적용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문재인 캠프는 안 후보를 향해 본격적인 단일화 압박에 들어갔다. 민주통합당 이학영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31일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11월 25일이 후보 등록일인데 그 이전까지 단일화를 하지 못하면 투표용지에 이름이 나가게 되고 그러면 ‘단일화 효과’가 반감이 돼버린다”며 시간이 없다고 재촉했다. 특히 안 후보 측에서 후보 등록일 이후에도 단일화가 가능하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안 후보의 진정성에 대해 우려를 갖게 될 것이며 무책임한 일로 국민 누구도 납득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먹튀방지법’이란 대선후보 중도사퇴시 정당 선거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도록 하는 법안이다. 앞서 야권2인방이 합심해서 투표시간 연장을 주장하자, 지난 29일 이정현 새누리당 공보단장은 기자간담회에서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는 “대선후보로 나선 사람이 혈세 150억원을 먹고 튀는 것을 방치하는 것은 문명국가가 아니다”며 “대선후보가 국민 혈세를 먹고 튀는 것을 막기 위한 ‘먹튀 방지법’과 ‘투표시간 연장법’을 동시에 국회에서 논의, 처리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재인 캠프는 31일 민주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문 후보는 새누리당 요구를 대승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며 “정당의 이익보다 국민 참정권을 지키는 것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여당이 투표시간 연장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었던 이유는 또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야권2인방이 박 후보보다 젊은층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는데, 그들의 투표율이 중장년층에 비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결국 투표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젊은 층의 투표를 장려하는 것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허나 문재인 캠프가 여당의 요구를 받아들여 버리자, 새누리당은 ‘투표시간 연장’에 대해 반대하기 애매해진 것이다. 이로써 이번 사안이 받아들여져 선거에 실제로 적용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문재인 캠프는 안 후보를 향해 본격적인 단일화 압박에 들어갔다. 민주통합당 이학영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31일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11월 25일이 후보 등록일인데 그 이전까지 단일화를 하지 못하면 투표용지에 이름이 나가게 되고 그러면 ‘단일화 효과’가 반감이 돼버린다”며 시간이 없다고 재촉했다. 특히 안 후보 측에서 후보 등록일 이후에도 단일화가 가능하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안 후보의 진정성에 대해 우려를 갖게 될 것이며 무책임한 일로 국민 누구도 납득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