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수장학회 강탈논란 관련 입장 번복해···‘강압이 인정된다?’
정치 2012/10/22 10:28 입력 | 2012/10/22 10:42 수정

정수장학회 관련 기자회견. 사진=박근혜 후보 공식사이트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정수장학회 강탈논란에 대해 입장을 번복해 논란이 일고 있다.
먼저 현재 정수장학회 강탈논란에 대한 판결은 강압이 있었다는 것이다. 서울중앙지법은 지난 2월 김 씨 유족이 제기한 주식 반환 청구 소송 1심에서 “김 씨가 정부의 강압에 의해 주식을 증여한 것은 인정되나, 당시 그가 의사결정의 여지를 완전히 박탈당한 상태에서 증여를 했다고 인정하기엔 부족하다”고 했다. 재판부는 “국가도 과거의 강압적 행위에 대한 배상 책임이 있지만, 이미 김 씨 유족이 손해배상 소송을 낼 수 있는 시효(10년)가 지났다”고도 했다.
허나 처음 박 후보는 “강압이 없었다”고 입장을 밝혔다. 21일 박 후보의 기자회견장에서 주진우 시사인 기자가 강탈논란과 관련해 “김지태씨 유족은 정수장학회를 뺏겼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이에 박 후보는 “법원에서 유족에 대한 강압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린 바 있다”고 답한 것. 그 후 박 후보와 주 기자는 비슷한 내용의 질의응답을 3~4차례 반복했다.
그 과정에서 박 후보가 말을 더듬는 등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자 진행자였던 조윤선 대변인이 “지금은 토론이 아닌 질의 응답시간”이라며 다음 질문자에게로 관심을 돌렸다.
그 후 박 후보가 준비된 말을 마치고 단상을 내려왔으나, 잠시 뒤 다시 올라 “강압이 아니다”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정정했다. 그는 “제가 아까 강압이 없었다고 얘기했습니까”라며 “그건 제가 잘못 말한 것 같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서 “강압이 있었는지 인정하기 어렵다고 패소 판결을 한 걸로 제가 알고 있다”며 “(법원은) 강압에 의해 주식 증여의 의사표시를 했음이 인정된다고 얘기를 하고 또 강박의 정도가 김 씨 스스로 의사결정 여지를 완전히 박탈할 만큼, (그래서) 무효로 할 정도로는 인정되지 않는다(는 취지로 판결했다)”고 말을 바꿨다.
결국 박 후보는 정수장학회의 강탈논란에 대해 일정부분 시인한 것이다. 허나 박 후보의 입장번복과, 주 기자의 질문태도 등에 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한편 박 후보가 기자회견을 통해 정수장학회 문제와 자신은 무관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자 문재인 캠프가 “진솔한 사과와 강탈된 재산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했는데···분노스럽다”며 강하게 비난했다. 특히 진성준 민주당 대변인은 박 후보가 정수장학회 논란과 관련해 과거사 사죄, 특혜 내놓기, 이사진 퇴진, 김지태 회장에 대한 피해배상, 장학회 사회 환원 등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은 박 후보가 우회적으로 사퇴를 요구한 것에 대해 “누구도 그만둬라 말할 사람은 없다”고 못 박았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먼저 현재 정수장학회 강탈논란에 대한 판결은 강압이 있었다는 것이다. 서울중앙지법은 지난 2월 김 씨 유족이 제기한 주식 반환 청구 소송 1심에서 “김 씨가 정부의 강압에 의해 주식을 증여한 것은 인정되나, 당시 그가 의사결정의 여지를 완전히 박탈당한 상태에서 증여를 했다고 인정하기엔 부족하다”고 했다. 재판부는 “국가도 과거의 강압적 행위에 대한 배상 책임이 있지만, 이미 김 씨 유족이 손해배상 소송을 낼 수 있는 시효(10년)가 지났다”고도 했다.
허나 처음 박 후보는 “강압이 없었다”고 입장을 밝혔다. 21일 박 후보의 기자회견장에서 주진우 시사인 기자가 강탈논란과 관련해 “김지태씨 유족은 정수장학회를 뺏겼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이에 박 후보는 “법원에서 유족에 대한 강압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린 바 있다”고 답한 것. 그 후 박 후보와 주 기자는 비슷한 내용의 질의응답을 3~4차례 반복했다.
그 과정에서 박 후보가 말을 더듬는 등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자 진행자였던 조윤선 대변인이 “지금은 토론이 아닌 질의 응답시간”이라며 다음 질문자에게로 관심을 돌렸다.
그 후 박 후보가 준비된 말을 마치고 단상을 내려왔으나, 잠시 뒤 다시 올라 “강압이 아니다”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정정했다. 그는 “제가 아까 강압이 없었다고 얘기했습니까”라며 “그건 제가 잘못 말한 것 같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서 “강압이 있었는지 인정하기 어렵다고 패소 판결을 한 걸로 제가 알고 있다”며 “(법원은) 강압에 의해 주식 증여의 의사표시를 했음이 인정된다고 얘기를 하고 또 강박의 정도가 김 씨 스스로 의사결정 여지를 완전히 박탈할 만큼, (그래서) 무효로 할 정도로는 인정되지 않는다(는 취지로 판결했다)”고 말을 바꿨다.
결국 박 후보는 정수장학회의 강탈논란에 대해 일정부분 시인한 것이다. 허나 박 후보의 입장번복과, 주 기자의 질문태도 등에 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한편 박 후보가 기자회견을 통해 정수장학회 문제와 자신은 무관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자 문재인 캠프가 “진솔한 사과와 강탈된 재산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했는데···분노스럽다”며 강하게 비난했다. 특히 진성준 민주당 대변인은 박 후보가 정수장학회 논란과 관련해 과거사 사죄, 특혜 내놓기, 이사진 퇴진, 김지태 회장에 대한 피해배상, 장학회 사회 환원 등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은 박 후보가 우회적으로 사퇴를 요구한 것에 대해 “누구도 그만둬라 말할 사람은 없다”고 못 박았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