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731부대, 과거 생체실험 또 밝혀져 ‘민간인 지역서 페스트균 살포’
정치 2013/10/30 12:10 입력 | 2013/10/30 12:15 수정

100%x200

제공=연합뉴스/독립기념관 731부대 전시 안내 포스터

100%x200

제공=서울대 서이종 교수

100%x200

제공=연합뉴스/731부대 생체실험 모습. 배를 갈라 내장을 만지고 있다

100%x200

제공=연합뉴스/731부대의 희생자들. 집단 살해된 중국 군인과 남경 시민의 시체

[디오데오 뉴스=최혜미 기자] 일본군 731부대가 민간인 지역에서 잔혹한 생체 실험을 했다는 사실이 서울대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30일 서울대 사회학과 서이종 교수는 논문을 통해 생체 실험으로 악명 높은 일제 ‘731부대’가 중국 내 민간인 거주 지역에서 세균을 살포하는 실험을 해 수천 명을 숨지게 했다고 주장했다.



731부대의 정식 명칭은 ‘관동군 방역급수부’로 1932년부터 1945년까지 중국 하얼빈 일대에 주둔하며 생체 해부 실험과 냉동 실험 등을 자행했다.



앞서 중국과 일부 일본 소장파 학자들이 당시 페스트균이 중국 전역에 퍼진 현상을 두고 731부대의 소행이라는 주장을 펴왔지만, 진술에만 의지한 주장이어서 그동안 학계에서 격렬한 진실 논쟁이 벌어져 왔다.



그러나 이번 발표는 문서 자료를 바탕으로 731부대가 민간 지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생체 실험을 한 만행을 규명한 세계 최초의 연구라고 서울대는 밝혔다.



서 교수가 발표한 ‘일본관동군 제731부대의 생체실험 대상자 동원 과정과 생명윤리’ 논문에 따르면, 731부대는 지난 1940년 6월 4일 중국 지린(吉林)성 눙안(農安)현에 페스트균에 감염된 벼룩 약 1만 마리를 살포했다.



이 때문에 눙안현에서는 100일 뒤 607명이 사망했으며 신징(新京), 첸궈치(前郭旗), 정자툰(鄭家屯) 등 지린성 일대에서 이러한 생체 실험으로 지역 주민 2,500여 명이 사망했다.



서 교수는 특정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이뤄진 세균 실험이 세균의 효과를 검증하는 동시에 일본군의 피해를 줄이려는 방역 통제력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와 같은 민간 마을 대상 세균전 전초 실험을 통해 731부대는 1940~42년 중국 본토에 대한 세균전을 실행에 옮길 수 있었다고 서 교수는 설명했다.



또한, 서 교수는 일본군이 전쟁포로가 아닌 항일활동가와 사상범 등을 ‘특수이송’ 명목으로 731부대에 보내 생체 실험 대상으로 삼은 정황도 밝혔다. 서 교수는 “국경지대에 살던 중국인·한국인을 대상으로 ‘첩자’ 혐의를 뒤집어씌운 뒤 그중 적어도 3분의 1을 재판 없이 731부대로 특수이송해 살해했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중국 하얼빈 731부대 연구소에서 이 부대 가네코 준이치(金子順一) 소령이 작성한 논문 등 극비 문서를 분석해 이런 연구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독립기념관 조범래 학예실장은 “민간인을 상대로 화학무기 실험을 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반(反)인륜적·반도덕적 행위”, “그간 관련 분야 연구가 부족했는데, 충격적 사실이 확인된 셈”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최혜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