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피터 씨엘 지원으로 개발된 식물성 '인조 계란'… "맛은?"
경제 2013/11/15 17:23 입력 | 2013/11/15 17:33 수정

출처=데일리메일(www.dailymail.co.uk)

출처=데일리메일(www.dailymail.co.uk)
[디오데오 뉴스=최혜미 기자] 미국에서 식물로부터 만들어진 ‘인조 계란’이 발매 개시되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시험관에서 배양된 소고기나 유전자 조작된 물고기 등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식품이 차례로 등장하는 가운데, 이번에는 식물로부터 만들어진 인공란(人工卵)이 미국에서 발매 개시돼 화제가 되고 있다.
식물에서 만들어진 인공란 ‘Beyond Eggs’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빌 게이츠와 페이팔(PayPal)의 창업자 피터 씨엘의 지원을 받아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슈퍼마켓에서 발매가 개시됐다.
인공란을 개발한 사람은 회사 Hampton Creek사의 조시 테트릭 씨다. 인공란은 캐나다산의 완두콩과 동남아시아산의 콩 등 12종류의 식물을 사용해 만들어졌으며 완전식물성이다. 이것을 섞는 것만으로 달걀을 대신하는 맛과 영양분을 얻을 수 있다.
현재 ‘Beyond Eggs’는 마요네즈와 케이크 만들기에 가장 적합하다. 각계 유명인이 모인 시식회에 참가한 빌 게이츠와 구 영국 총리인 토니 블레어는 보통의 달걀과 인공란을 각각 사용한 쿠키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스크램블 에그(달걀을 깨어 익는 대로 휘저으면서 볶는 요리)의 요리에서 달걀 본래의 맛을 재현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해 더욱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인공란’의 이점은 독자적으로 영양분을 추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발전도상국에서 부족한 영양분을 인공란으로 보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지 농업자가 인공란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거나 해서 새로운 수입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회사의 인조계란제품은 미국 전역의 체인 슈퍼마켓 Whole Foods를 통해 현지시장에 진입했으며 맥도날드, KFC등의 그룹과도 협력을 꾀하고 있다. 2014년 연초에는 중국시장에도 진입할 예정이다. 머지않아 전 세계 매장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한편, 당사는 장래 발전도상국에서 독자적으로 인조 계란을 개발할 수 있도록 허가할 의향이다.
최혜미 기자 [email protected]
최근 시험관에서 배양된 소고기나 유전자 조작된 물고기 등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식품이 차례로 등장하는 가운데, 이번에는 식물로부터 만들어진 인공란(人工卵)이 미국에서 발매 개시돼 화제가 되고 있다.
식물에서 만들어진 인공란 ‘Beyond Eggs’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빌 게이츠와 페이팔(PayPal)의 창업자 피터 씨엘의 지원을 받아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슈퍼마켓에서 발매가 개시됐다.
인공란을 개발한 사람은 회사 Hampton Creek사의 조시 테트릭 씨다. 인공란은 캐나다산의 완두콩과 동남아시아산의 콩 등 12종류의 식물을 사용해 만들어졌으며 완전식물성이다. 이것을 섞는 것만으로 달걀을 대신하는 맛과 영양분을 얻을 수 있다.
현재 ‘Beyond Eggs’는 마요네즈와 케이크 만들기에 가장 적합하다. 각계 유명인이 모인 시식회에 참가한 빌 게이츠와 구 영국 총리인 토니 블레어는 보통의 달걀과 인공란을 각각 사용한 쿠키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스크램블 에그(달걀을 깨어 익는 대로 휘저으면서 볶는 요리)의 요리에서 달걀 본래의 맛을 재현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해 더욱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인공란’의 이점은 독자적으로 영양분을 추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발전도상국에서 부족한 영양분을 인공란으로 보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지 농업자가 인공란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거나 해서 새로운 수입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회사의 인조계란제품은 미국 전역의 체인 슈퍼마켓 Whole Foods를 통해 현지시장에 진입했으며 맥도날드, KFC등의 그룹과도 협력을 꾀하고 있다. 2014년 연초에는 중국시장에도 진입할 예정이다. 머지않아 전 세계 매장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한편, 당사는 장래 발전도상국에서 독자적으로 인조 계란을 개발할 수 있도록 허가할 의향이다.
최혜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