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비매너 12가지, 그 중 최악은 무엇?
경제 2016/06/16 10:30 입력 | 2016/06/16 10:31 수정

100%x200

“인수인계 확실히”…퇴사 시 지켜야 할 매너는?
퇴사 시 가장 최악의 행동 1위는? ‘일방적 통보’

[디오데오 뉴스] 기업 인사담당자들이 말하는 퇴사 시 가장 최악의 행동은 무엇일까?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1772개사를 대상으로 ‘최악의 퇴사 비매너 행동’을 조사한 결과, ▲ ‘팀 상황 고려 없이 일방적으로 퇴사 통보함’(29.6%)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 ‘시간 여유 없이 이직사실을 알림’(17.8%), ▲ ‘맡은 업무를 마무리하지 않고 퇴사함’(10.6%), ▲ ‘업무 인수인계를 성의 없이 함’(9.8%), ▲ ‘업무에 집중하지 않고 대충 시간을 보냄’(7.3%), ▲ ‘퇴사 즉시 연락이 두절됨’(4.4%), ▲ ‘지각 등 퇴사 직전 근태관리 소홀함’(4.3%), ▲ ‘경쟁사로 이직함’(3.7%) ▲ ‘이직 사실을 주위에 과도하게 떠벌림’(3.0%), ▲ ‘퇴사의사를 직속상사에게 알리지 않음’(2.4%), ▲ ‘SNS 등 외부에 회사 비방, 험담함’(2.0%), ▲ ‘업무 시간에 면접을 보러 다님’(2.0%) 등의 답변이 있었다.

퇴사자 중 비매너 행동을 보이는 직원의 비율은 평균 37%로, ‘10% 이하’(24.3%), ‘30%’(18.8%), ‘20%’(17%), ‘50%’(14.4%) 등의 순이었다.

이들의 비매너 행동으로 인해 기업이 피해를 봤다는 응답은 무려 95.9%에 달했다. 피해를 본 것으로는 ‘업무 진행 차질’(72.2%, 복수응답), ‘동료들의 사기 저하’(46.2%), ‘연쇄이직 발생’(12.1%), ‘기업 이미지 실추’(11.5%), ‘고객이탈 등 직접적 영업손실’(10.7%), ‘내부 기밀사항 유출’(9.5%) 등이 있었다.

그렇다면, 퇴사 시의 비매너 행동이 개인의 평판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퇴사 시 비매너 행동으로 재직 때보다 이미지가 나빠진 직원이 있는지에 대해 무려 88%가 ‘있다’라고 응답했다.

또, 기업 67.7%는 평판 조회를 주고 받을 때, 퇴사 매너가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들 중 38.1%는 평판 조회 요청을 받았을 때, 퇴사 당시의 비매너 행동을 상대 기업에 알려준 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퇴사 시 꼭 지켜줬으면 하는 매너로 ▲ ‘업무 인수인계를 확실히 함’(46.1%, 복수응답)을 1순위로 선택했다. 계속해서 ▲ ‘팀원 및 조직상황 배려해 퇴사시기 조율’(42.5%), ▲ ‘시간 여유 두고 이직사실을 알림’(42.5%), ▲ ‘진행 중이던 업무는 반드시 마무리함’(28%), ▲ ‘퇴사 사유를 솔직히 말하고 이해를 구함’(23.3%), ▲ ‘퇴사 직전까지 근태관리 노력함’(20%), ▲ ‘나태해지지 않고 업무에 집중함’(14.2%) 등의 순으로 답했다.

인재를 채용할 때 전방위로 평판조회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업무뿐만 아니라 마지막까지 좋은 모습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매너 있게 퇴사하는 것은 직장 및 동료들에 대한 예의임은 물론 본인의 이미지와 커리어를 관리하는 기본적인 행동임을 명심해야 한다.
온라인뉴스팀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