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단일화’에 대해 소극적인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는 이유
정치 2012/10/31 16:01 입력 | 2013/01/08 12:33 수정

100%x200

10월 30일 대한상공회의소 초청 조찬 강연. 사진=안철수 후보 공식사이트

100%x200

골목상권 살리기 운동대회에 참석한 대통령 후보들. 사진=문재인 후보 공식사이트

[디오데오뉴스 = 김동호 기자] 야권2인방이 ‘단일화’에 대해 확연히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가 적극적으로 구애를 하고 있는 반면, 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자랑하는 안철수 무소속 대선후보는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안 후보가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여야당을 구세력으로 규정하고 ‘정치개혁’을 주장하고 있던 그가 야당의 선두주자인 문 후보와 손을 잡는다는 것인데, 이는 누가 봐도 아이러니한 면이 있다.



그런 맥락으로 안 후보는 지난 23일 인하대 강연에서 정당의 국고보조금 축소를 주장했다. 그는 “당원 당비로 정당이 유지돼야하는데 지금 국고보조금으로 유지된다”며 “정치권이 액수를 줄여 민생에 쓰거나 정당이 새로운 정책을 개발할 때 쓰는 게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국민 세금으로 정당에 국고보조금 344억원 정도를 주는데 1981년 군사쿠데타로 집권한 전두환 정권이 야당 회유하려 시작한 것”이라며 “국고보조금 방식은 시작부터 양대정당 타협에 의한 기득권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런 공세를 펼치고 있는 안 후보가 문 후보와 단일화를 하는 것은 ‘정권교체’그 이상의 의미를 찾기 힘들다는 비난을 피하기 힘들어 지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제1야당인 민주통합당의 위력에서 찾을 수 있다. 거대야당인 민주당이 문 후보를 도와 한순간에 역전을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는 것. 현재 민주당은 오는 11월 10일쯤까지 지지율을 3∼4%포인트 끌어올리면 안 후보와의 단일화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현역 의원과 원외 지역위원장 등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일 태세다.



이러한 이유로 안철수 캠프는 여전히 방어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송호창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31일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단일화를 안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입을 열었다. 허나 “정권교체를 해도 그 안에 똑같은 정치인들이 반복한다면 의미가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시간이 급하다고 아무나 대충 뽑아 바늘허리에 실을 매 바느질을 할 수 있는 시기가 아니라는 것”을 강조했다



반면 문재인 캠프는 본격적인 단일화 압박에 들어갔다. 민주통합당 이학영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같은 날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11월 25일이 후보 등록일인데 그 이전까지 단일화를 하지 못하면 투표용지에 이름이 나가게 되고 그러면 ‘단일화 효과’가 반감이 돼버린다”며 “그 이전에 단일화를 해야 하는데 사실상 시간이 없다”고 재촉했다. 특히 안 후보 측에서 후보 등록일 이후에도 단일화가 가능하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안 후보의 진정성에 대해 우려를 갖게 될 것이며 무책임한 일로 국민 누구도 납득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로써 야권2인방이 각자의 이유로 단일화를 두고 거센 ‘기싸움’을 벌이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리얼미터’가 29~30일 전국성인 1천5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자구도는 박근혜(42.9%), 안철수(28.3%), 문재인(22.2%)순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양자대결은 ‘안철수(50.3%)-박근혜(45.4%)’, ‘문재인(45.7%)-박근혜(48.3%)’로 조사됐다. 야권2인방의 단일화 대결은 ‘안철수(43.8%)-문재인(34.9%)’로 나타났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