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투표시간 연장’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일 수밖에 없는 이유
정치 2012/10/30 15:52 입력 | 2012/10/30 19:11 수정

골목상권 살리기 운동대회에 참석한 대통령 후보들. 사진=박근혜 후보 공식사이트

골목상권 살리기 운동대회에 참석한 대통령 후보들. 사진=문재인 후보 공식 사이트
야권2인방이 합심해 ‘투표시간 연장’을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여권은 일단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는 투표시간 연장이 야권2인방의 지지율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신중을 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야권은 ‘투표시간 연장’을 강하게 주장하고 나섰다. 민주통합당은 지난달 4일 진선미 의원 대표 발의로 투표 마감시간을 현행 오후6시에서 9시로 3시간 늘리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도 29일 중상선대위 회의에서 “박 후보가 자신은 제3자인 것처럼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은 유감이며, 투표시간 연장에 동참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어서 안철수 무소속 후보 측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도 논평에서 “박 후보는 ‘여야가 국회에서 합의해서 하면 된다’고 말했는데 박근혜 캠프의 여러분은 투표시간 연장을 반대하는 것처럼 말한다”면서 “뭐가 두려운 것인가”라고 문 후보 측과 의견을 같이했다.
허나 새누리당은 이를 ‘정치공세’로 보며 우회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안형환 중앙선대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투표시간 연장 주장의 근본 목적은 자신들 선거에 도움이 되기 위함인데 유권자들의 권리인 것처럼 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안대희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장도 PBC 라디오에 출연해 “여야 합의에 달렸지만 어려운 사안으로 정치쇄신이라기보다 정략적 주장에 가깝다”고 말했다.
이처럼 여당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는 이유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야권2인방이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보다 젊은층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허나 젊은층의 투표율이 중장년층에 비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결국 투표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젊은 층의 투표를 장려하는 것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투표시간 연장 논의에 대해 김준석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박 후보 측이 강력하게 맞대응하지 못하는 것은 정치인, 특히 대선 주자가 투표시간 연장을 직접적으로 거부하는 게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야권2인방을 향해선 “투표시간 연장에 진정성이 있다면 지난 총선 때 문제제기 했어야 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또한 “비정규직 투표권 문제는 투표권을 보장하지 않는 고용주를 적극 고발하는 등 현행법에서도 충분히 가능한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투표시간 연장’을 둘러싸고 여야가 팽팽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현재 야권은 ‘투표시간 연장’을 강하게 주장하고 나섰다. 민주통합당은 지난달 4일 진선미 의원 대표 발의로 투표 마감시간을 현행 오후6시에서 9시로 3시간 늘리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도 29일 중상선대위 회의에서 “박 후보가 자신은 제3자인 것처럼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은 유감이며, 투표시간 연장에 동참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어서 안철수 무소속 후보 측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도 논평에서 “박 후보는 ‘여야가 국회에서 합의해서 하면 된다’고 말했는데 박근혜 캠프의 여러분은 투표시간 연장을 반대하는 것처럼 말한다”면서 “뭐가 두려운 것인가”라고 문 후보 측과 의견을 같이했다.
허나 새누리당은 이를 ‘정치공세’로 보며 우회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안형환 중앙선대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투표시간 연장 주장의 근본 목적은 자신들 선거에 도움이 되기 위함인데 유권자들의 권리인 것처럼 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안대희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장도 PBC 라디오에 출연해 “여야 합의에 달렸지만 어려운 사안으로 정치쇄신이라기보다 정략적 주장에 가깝다”고 말했다.
이처럼 여당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는 이유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야권2인방이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보다 젊은층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허나 젊은층의 투표율이 중장년층에 비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결국 투표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젊은 층의 투표를 장려하는 것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투표시간 연장 논의에 대해 김준석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박 후보 측이 강력하게 맞대응하지 못하는 것은 정치인, 특히 대선 주자가 투표시간 연장을 직접적으로 거부하는 게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야권2인방을 향해선 “투표시간 연장에 진정성이 있다면 지난 총선 때 문제제기 했어야 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또한 “비정규직 투표권 문제는 투표권을 보장하지 않는 고용주를 적극 고발하는 등 현행법에서도 충분히 가능한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투표시간 연장’을 둘러싸고 여야가 팽팽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