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NLL 관련 대화록, 공개여부 놓고 여야 첨예하게 대립
정치 2012/10/25 15:12 입력 | 2012/10/25 15:18 수정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10.4 남북정상선언 5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특별 대담을 하는 문재인 후보. 사진=문재인 후보 공식 홈페이지

사진=(위)해당 기사 캡처/ (아래)노무현 재단 공식 사이트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의혹과 관련된 국가기록물은 공개해야 할까?
24일 행정안전부 국정감사에서 이 일을 두고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펼쳤다. 먼저 새누리당이 공개하기를 강력하게 요구했다. 고희선 의원은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과 노 전 대통령 간에 대화가 있었다면 대화록이 있는 게 기정사실”이라며 “당시 비서실장이었던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는 이 대화록을 즉각 공개해 국민적 의혹을 해결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민주통합당은 반대의사를 표시했다. 먼저 임수경 의원이 “17대 국회인 2006년 당시 한나라당 정문헌 의원은 대통령 지정기록물을 50년까지 보호하자는 취지의 법안을 제출했다”며 “법안을 냈던 사람들이 이제 와서 대통령 기록물을 열람하자는 것은 지나치게 정략적이다”라고 꼬집었다.
이어서 박남춘 의원은 “김영삼 정부 때 2년간 청와대에서 일하면서 정치적 보복을 피하고자 두 달간 철저하게 기록을 없애는 일을 했었다”며, “국가기록물에 대한 보호조치가 있었기 때문에 노 전 대통령이 825만 건이 넘는 기록물을 남길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노 전 대통령은 ‘NLL 논란’에 이어 ‘청와대 문건폐기 의혹’마저 제기된 상태다. 조선일보는 23일 ‘노 전 대통령이 대통령기록물을 인계하는 과정에서 민감한 문건의 목록과 내용을 없애버릴 것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그 증거로 회의 때 대화한 내용의 일부를 제시했다. 이에 노무현 재단은 “(보도가) 사실이 아니며 회의 내용의 앞뒤 발언을 다 빼버리고 일부분만을 인용한 악의적 날조”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24일 행정안전부 국정감사에서 이 일을 두고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펼쳤다. 먼저 새누리당이 공개하기를 강력하게 요구했다. 고희선 의원은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과 노 전 대통령 간에 대화가 있었다면 대화록이 있는 게 기정사실”이라며 “당시 비서실장이었던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는 이 대화록을 즉각 공개해 국민적 의혹을 해결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민주통합당은 반대의사를 표시했다. 먼저 임수경 의원이 “17대 국회인 2006년 당시 한나라당 정문헌 의원은 대통령 지정기록물을 50년까지 보호하자는 취지의 법안을 제출했다”며 “법안을 냈던 사람들이 이제 와서 대통령 기록물을 열람하자는 것은 지나치게 정략적이다”라고 꼬집었다.
이어서 박남춘 의원은 “김영삼 정부 때 2년간 청와대에서 일하면서 정치적 보복을 피하고자 두 달간 철저하게 기록을 없애는 일을 했었다”며, “국가기록물에 대한 보호조치가 있었기 때문에 노 전 대통령이 825만 건이 넘는 기록물을 남길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노 전 대통령은 ‘NLL 논란’에 이어 ‘청와대 문건폐기 의혹’마저 제기된 상태다. 조선일보는 23일 ‘노 전 대통령이 대통령기록물을 인계하는 과정에서 민감한 문건의 목록과 내용을 없애버릴 것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그 증거로 회의 때 대화한 내용의 일부를 제시했다. 이에 노무현 재단은 “(보도가) 사실이 아니며 회의 내용의 앞뒤 발언을 다 빼버리고 일부분만을 인용한 악의적 날조”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