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5000년 내 최초의 역사폐기 대통령? 여야 간 공방 치열해…
정치 2012/10/25 10:26 입력

100%x200

사진=(위)해당 기사 캡처/ (아래)블로그 ‘아이엠피터’

100%x200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평화공원에서 개최한 과학기술 나눔 마라톤 대회에 참석한 대통령 후보들. 사진=문재인 후보 공식 사이트

새누리당이 전 노무현 대통령의 청와대 문건목록 폐기의혹에 대해 “5000년 내 최초의 역사폐기 대통령”이라며 대대적인 공세에 나섰다. 이에 야당은 “완전한 날조”라며 즉각 반발하고 있다.



지난 23일 조선일보는 ‘노 전 대통령이 대통령기록물을 인계하는 과정에서 민감한 문건의 목록과 내용을 없애버릴 것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가 “그렇게 목록 자체도 빠져버리면 보호기간이 지난 후 다시 기록을 복원해야 할 때 (문서의) 소속을 어떻게 찾느냐”는 질문을 했다고 전하며 이 일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했다.



새누리당은 조선일보의 보도를 근거삼아 “5000년 내 최초의 역사폐기 대통령”이라고 맹비난하며 공세를 펼쳤다. 새누리당은 즉시 긴급 최고위원 회의를 열고 ‘영토주권 포기 진상조사위원회’를 ‘역사폐기’를 포함시켜 확대개편하고, 대통령기록물관리 법 개정 추진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당시 청와대 관계자들과 수석‧보좌관회의 참석자들은 새누리당이 조선일보의 보도에 대해 “완전한 날조”라며 반발했다. 노 전 대통령의 발언을 왜곡하기 위해 앞뒤 맥락을 다 잘라내고 ‘기록물 폐기’ 의혹에 맞게 날조했다는 것이다.



먼저 조선일보가 언급한 2007년 5월 22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은 ‘기록물 폐기’가 아니라 ‘기록물 보전 방안을 논의’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 기록물은 ‘공개기록-비밀기록-지정기록’으로 분류하는 데 노 전 대통령이 후대를 위해 비공개와 지정기록물도 목록을 작성하되 비공개로 묶도록 지시했다는 것이다. 조선일보가 증거자료로 제시한 “인계할 때 제목까지 없애버리고 넘겨줄 거냐”등의 노 전 대통령의 발언은 이 과정에서 언급된 발언이라고 해명했다.



노무현 재단도 23일 성명을 내고 “노 대통령은 원본은 이관된다는 것을 분명하게 못 박았고 원본을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했다”며 반박했다. 이어 “조선일보가 대선을 앞두고 노무현 대통령과 특정후보 흠집내기 의도로 회의내용의 일부만 인용해 악의적인 주장을 날조했다”면서 “선거에 활용하기 위해 허위사실로 서거하신 전직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은 패륜적인 범죄”라고 맹비난했다.



이로써 NLL, 정수장학회에 이어 노 전 대통령의 청와대 문건목록 폐기 논란으로 여야는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