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산가스 누출된 구미, 정부의 안일한 대처? “독극물에 기준치를 정하는 건 넌센스”
정치 2012/10/05 10:27 입력 | 2012/10/05 11:31 수정

100%x200

사진=MBC 뉴스 캡처

100%x200

사진=MBC 뉴스 캡처

불산가스가 누출된 구미지역에 정부가 늑장대응을 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불산 누출사고로 23명의 사상자가 나고, 91.2ha 농작물과 1,313두의 가축이 피해를 입었으며, 22개 기업체에서 조업 중단 등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게다가 인근 지역 주민 900여 명이 치료를 받고 있음은 물론 농작물과 가축의 피해도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정부는 4일 불산가스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경북 구미지역에 조사단 급파 후 특별재난지역 선포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5일부터 재난합동조사단을 현지에 급파해 피해규모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또 건강검진을 원하는 주민들은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안일한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앞서 대구환경운동연합은 사고 후 정부가 독극물 기준치 이내이므로 안전하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기준치란 것은 주민의 건강상 기준치라기보다는 대게 당국의 관리상의 기준치라고 보는 것이 맞다. 관리하기 편하도록 만든 것이 소위 말하는 그 ‘기준치’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서 “사람마다 기질이나 체질이 다 다른데 일괄적으로 그 기준치란 것을 정한다는 것도 참으로 넌센스”라고 일침을 가했다.



또 “불산이란 독가스를 중화시키기 위해선 물이 아니라 석회가 필요한 것인데, 그 석회란 것도 사고 발생 시 바로 뿌리지 못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며 “사고가 난 지 만 22시간 후에야 비로소 석회를 뿌렸다”고 늑장대응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어 “당국은 구미산단에 도대체 어떤 독성 화학물질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도 구미시민들에게 상세히 알려야 할 것이다. 이것은 주민생존과 직결된 문제다”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누출된 불화수소산은 독극물로 분류된다. 주성분인 불소는 쥐약과 살충제의 주성분이고, 군사용 신경 독가스의 기본 물질이기도 하다. 이 화학물질은 흡입, 섭취, 피부접촉 등 거의 모든 노출경로에 대한 독성을 갖는다.



불화수소산을 목으로 흡입시 비염, 기관지염, 폐부종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눈으로 흡입시 각막 손상으로 실명에까지 이를 수 있다. 심지어 끊여도 없어지지 않고 뼈 같은 곳에 농축되어 뼈를 녹이고, 뇌신경세포의 기본기능을 저해 지능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고 한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