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장애 20대 환자 급증, 4년새 60% 증가 “스마트폰이 눈 혹사시켜”
경제 2014/04/14 14:16 입력

제공=연합뉴스
[디오데오 뉴스] 20대 망막장애 환자가 급증해 그 원인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지난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망막장애 환자가 지난 2008년 54만 2,200명에서 2012년 85만 7,813명으로 58.2%, 연평균 12.2%가 늘었다”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망막장애로 수술한 환자는 6만 4,455명에서 9만 9,136명으로 53.8%가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망막장애란 망막이 손상되어 벗겨지고 심하면 실명까지 가져올 수 있는 질환이다. 전문가들은 망막에 미세 혈관이 집중되어 있는데 당뇨나 고혈압이 혈관을 손상시켜 이와 같은 질환이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망막장애는 50대 이상에서 많이 나타나고 60~70대가 전체 환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질병으로 50대가 21.9%, 60대가 26.5%, 70대가 22.6%의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20대의 경우에도 스마트폰과 같은 각종 영상 장비로 눈을 혹사하거나 라식 등의 시력교정술을 받기 위해 검사를 하다가 망막 이상을 발견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될 수 있으면 손으로 눈을 비비는 일을 피하고, 지속적으로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최혜미 기자 [email protected]
지난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망막장애 환자가 지난 2008년 54만 2,200명에서 2012년 85만 7,813명으로 58.2%, 연평균 12.2%가 늘었다”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망막장애로 수술한 환자는 6만 4,455명에서 9만 9,136명으로 53.8%가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망막장애란 망막이 손상되어 벗겨지고 심하면 실명까지 가져올 수 있는 질환이다. 전문가들은 망막에 미세 혈관이 집중되어 있는데 당뇨나 고혈압이 혈관을 손상시켜 이와 같은 질환이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망막장애는 50대 이상에서 많이 나타나고 60~70대가 전체 환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질병으로 50대가 21.9%, 60대가 26.5%, 70대가 22.6%의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20대의 경우에도 스마트폰과 같은 각종 영상 장비로 눈을 혹사하거나 라식 등의 시력교정술을 받기 위해 검사를 하다가 망막 이상을 발견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될 수 있으면 손으로 눈을 비비는 일을 피하고, 지속적으로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최혜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