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설‧어린이날 대체휴일제 내년부터 적용에 누리꾼 ‘쉬는 사람만 쉬는 불편한 진실’
정치 2013/09/12 18:35 입력

연합뉴스 제공
[디오데오 뉴스] 정부와 새누리당은 12일 열린 당정협의에서 설과 추석 등을 내년부터 대체휴일제에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은 12일 국회에서 유정복 안전행정부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당정협의를 통해 이같이 합의했다고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다.
당정은 공휴이로가 일요일이 겹치면 평일 하루를 더 쉬는 ‘대체 휴일제’를 현재의 설, 추석에 이어 어린이날에도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설‧추석은 공휴일이나 일요일과 겹치면 대체휴일이 주어지지만 어린이날은 공휴일‧일요일에 더해 토요일과 겹쳐도 대체휴일이 부여되고 이로 인해 연평균 1.1일의 휴일이 증가하게 된다.
앞서 당정은 지난 달 초 대체휴일제와 관련해서 설과 추석 등 명절에만 적용하고 어린이날 대체휴일제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키로 했지만 국민적인 여론을 감안해 수정하게 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누리꾼들은 “대체휴일제 좋다” “진짜 이뤄질줄은 몰랐네” “쉬는 사람만 쉬는 불편한 진실” “주5일도 안 지켜지고 있는 마당에..” “대기업이랑 공무원들만 쉬겠죠” “이런 법안은 적극 환영입니다” 라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대체휴일제’는 휴일이 다른 휴일과 겹치면 휴일이 아닌 날을 더 쉬도록 해 공휴일이 줄어들지 않게 하는 제도로 ‘공휴일 이월제’ 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이에 대체휴일제는 올해부터 끊임없이 이야기가 나왔지만 앞서 지난 6월까지는 전혀 진척이 없어 도입될지 미지수라는 평가를 듣기도 했다. 진척이 없었던 이유는 경제계의 ‘기업의 경영 부담’이라는 이유로 반발했기 때문.
당시 경제계에서는 대체휴일제 도입이 기업의 경영 부담만 가중 시키며, 경제 손실이 32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공휴일이 선진국과 대비해 적은 상태가 아니라 오히려 많은 상태라고 밝혔다.
특히, 경제계는 지금도 상대적으로 여건이 좋은 대기업 정규직 직원에게는 여가의 기회가 될 것이지만 시급제나 일당제를 적용 받는 일용직‧임시직 직원에게는 소득 감소라는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오히려 양극화 심화를 만들 수도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정은 기자 [email protected]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은 12일 국회에서 유정복 안전행정부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당정협의를 통해 이같이 합의했다고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다.
당정은 공휴이로가 일요일이 겹치면 평일 하루를 더 쉬는 ‘대체 휴일제’를 현재의 설, 추석에 이어 어린이날에도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설‧추석은 공휴일이나 일요일과 겹치면 대체휴일이 주어지지만 어린이날은 공휴일‧일요일에 더해 토요일과 겹쳐도 대체휴일이 부여되고 이로 인해 연평균 1.1일의 휴일이 증가하게 된다.
앞서 당정은 지난 달 초 대체휴일제와 관련해서 설과 추석 등 명절에만 적용하고 어린이날 대체휴일제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키로 했지만 국민적인 여론을 감안해 수정하게 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누리꾼들은 “대체휴일제 좋다” “진짜 이뤄질줄은 몰랐네” “쉬는 사람만 쉬는 불편한 진실” “주5일도 안 지켜지고 있는 마당에..” “대기업이랑 공무원들만 쉬겠죠” “이런 법안은 적극 환영입니다” 라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대체휴일제’는 휴일이 다른 휴일과 겹치면 휴일이 아닌 날을 더 쉬도록 해 공휴일이 줄어들지 않게 하는 제도로 ‘공휴일 이월제’ 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이에 대체휴일제는 올해부터 끊임없이 이야기가 나왔지만 앞서 지난 6월까지는 전혀 진척이 없어 도입될지 미지수라는 평가를 듣기도 했다. 진척이 없었던 이유는 경제계의 ‘기업의 경영 부담’이라는 이유로 반발했기 때문.
당시 경제계에서는 대체휴일제 도입이 기업의 경영 부담만 가중 시키며, 경제 손실이 32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공휴일이 선진국과 대비해 적은 상태가 아니라 오히려 많은 상태라고 밝혔다.
특히, 경제계는 지금도 상대적으로 여건이 좋은 대기업 정규직 직원에게는 여가의 기회가 될 것이지만 시급제나 일당제를 적용 받는 일용직‧임시직 직원에게는 소득 감소라는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오히려 양극화 심화를 만들 수도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정은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