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건보료 폭탄? 임금 오른 750만명 직장인 평균 25만원 추가 정산 ‘내 건보료는’
경제 2013/04/18 16:37 입력

연합뉴스 제공
[디오데오 뉴스] 직장인 가입자 750만명은 이번 달에 건강보험료에 덧붙여 평균 25만원 정도 추가 건보료를 내야한다.
이는 직장가입자의 2012년도분 건강보험료를 정산한 결과.
건강보험료 정산은 지난 해 2011년 소득을 기준으로 부과된 건강보험료를 사후 실제 2012년도 임금 변동을 반영해 더 받거나 돌려주는 절차로, 1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정산결과를 살펴보면 직장가입자 976만명에 대한 추가 징수 또는 환급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2011년에 비해 2012년 임금이 오른 750만명은 보험료 1조8천968억원을 추가로 납입해야 하며 1인당 평균 25만2천900원 꼴로 사용자와 가입자가 각각 약 12만6천원씩 나누어 부담하게 된다.
그와는 반대로 약 226만명은 2천92억원을 환급 받아 평균 13만 6천원을 돌려받게 되며, 임금 변화가 없는 224만명은 정산 보험료가 없다.
이에 추가 징수 또는 환급되는 정산 보험료는 이달 보험료와 함께 25일께 고지되고 납부 시한은 5월 10일이며, 정산에 따른 추가 보험료가 당월 보험료보다 많으면 분할납부제도를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네티즌들은 “나는 해당 안 될거야 아마...” “얼마나 준다고 이거를 또 건보료로 내냐..” “세금만 안나가도 먹고 살만할 듯” “직장인들은 역시 투명지갑...” “직장인들만 매번 세금 제대로 내는 것 같아” “조금 올랐는데..얼마나 더 내려나..” 라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건보공단 측은 18일 건보료 제도를 포함해 모두 852건의 규제개선 방안을 담은 ‘2013년 규제정비 종합계획’을 확정 발표했으며, 올해 종합계획은 창조경제와 투자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 시장경제 질서와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규제강화를 병행하는 ‘투 트랙’ 전략으로 규제 개선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가입자의 건보료를 산정할 때 재산이 적거나 노후한 저가 자동차를 보유한 가입자의 보험료를 인하하는 대신 고소득자 또는 고액 자산가의 보험료 부담을 늘리겠다고 밝혔으며, 이를 위해 가입자 소득, 재산, 자동차를 점수나 등급으로 환산하는 지역보험료 산정 방식을 올해 말까지 조정 할 예정이다.
이정은 기자 [email protected]
이는 직장가입자의 2012년도분 건강보험료를 정산한 결과.
건강보험료 정산은 지난 해 2011년 소득을 기준으로 부과된 건강보험료를 사후 실제 2012년도 임금 변동을 반영해 더 받거나 돌려주는 절차로, 1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정산결과를 살펴보면 직장가입자 976만명에 대한 추가 징수 또는 환급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2011년에 비해 2012년 임금이 오른 750만명은 보험료 1조8천968억원을 추가로 납입해야 하며 1인당 평균 25만2천900원 꼴로 사용자와 가입자가 각각 약 12만6천원씩 나누어 부담하게 된다.
그와는 반대로 약 226만명은 2천92억원을 환급 받아 평균 13만 6천원을 돌려받게 되며, 임금 변화가 없는 224만명은 정산 보험료가 없다.
이에 추가 징수 또는 환급되는 정산 보험료는 이달 보험료와 함께 25일께 고지되고 납부 시한은 5월 10일이며, 정산에 따른 추가 보험료가 당월 보험료보다 많으면 분할납부제도를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네티즌들은 “나는 해당 안 될거야 아마...” “얼마나 준다고 이거를 또 건보료로 내냐..” “세금만 안나가도 먹고 살만할 듯” “직장인들은 역시 투명지갑...” “직장인들만 매번 세금 제대로 내는 것 같아” “조금 올랐는데..얼마나 더 내려나..” 라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건보공단 측은 18일 건보료 제도를 포함해 모두 852건의 규제개선 방안을 담은 ‘2013년 규제정비 종합계획’을 확정 발표했으며, 올해 종합계획은 창조경제와 투자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 시장경제 질서와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규제강화를 병행하는 ‘투 트랙’ 전략으로 규제 개선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가입자의 건보료를 산정할 때 재산이 적거나 노후한 저가 자동차를 보유한 가입자의 보험료를 인하하는 대신 고소득자 또는 고액 자산가의 보험료 부담을 늘리겠다고 밝혔으며, 이를 위해 가입자 소득, 재산, 자동차를 점수나 등급으로 환산하는 지역보험료 산정 방식을 올해 말까지 조정 할 예정이다.
이정은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