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70%, “지금 하는 일 천직 아냐”…현재 직업 만족도는?
경제 2016/04/04 10:50 입력

직장인 10명 중 7명, “지금 하는 일 천직 아냐”…천직 아닌데 하는 이유는? ‘돈’
“내 직업 대물림 싫어” 가장 선호하는 자녀 직업 1위 ‘공무원’
[디오데오 뉴스]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자신의 일이 평생 직업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살마인이 직장인 106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0.1%가 ‘현재 직업을 천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평생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서’(43%, 복수응답), ‘원했던 일이 아니어서’(32.7%), ‘재미가 없어서’(26.6%), ‘적성에 맞지 않아서’(17.2%), ‘관련 능력을 갖추지 못해서’(15.1%), ‘소질이 없는 것 같아서’(13.3%), ‘적응이 안 되고 힘들어서’(13.0%) 등을 들었다.
천직이 아니라고 생각하면서도 일을 하고 있는 이유로는 ‘돈을 벌기 위해서’(66.2%,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다른 직업을 구하기 어려워서’(44.5%), ‘원하는 일만 하면서 살 수 없어서’(26.4%), ‘어떤 일이 천직인지 몰라서’(22.6%), ‘좋아하지는 않지만 잘하는 일이라서’(14%), ‘젊었을 때만 고생하면 될 것 같아서’(1.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69.6%는 천직을 찾아 현재 하고 있는 일을 그만둘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그만두려는 시기는 ‘1년 이내’(39.5%), ‘2년’(21.3%), ‘3년’(18%), ‘5년’(9.8%) 등의 순으로, 평균 3년 이내에 천직을 찾아 떠날 생각인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하고 있는 일의 직업 만족도를 살펴보면, 천직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평균 75점(100점 만점), 그렇지 않은 경우는 49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그렇다면, 추후 자신의 자녀는 어떤 직업을 갖기를 원하고 있을까? 69.3%가 자신의 직업을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고 있었다.
직종에 따라 살펴보면, ‘제조/생산’(79.9%), ‘서비스’(75.5%), ‘영업/영업관리’(74.1%), ‘인사/총무’(69.2%), ‘연구개발’(67.2%), ‘IT/정보통신’(62.8%) 등의 순이었다.
반대하는 이유로는 ‘소득이 낮은 편이라서’(41.3%, 복수응답), ‘직업의 발전 가능성이 낮아서’(39.1%), ‘일 자체가 힘들어서’(30.1%), ‘정년을 보장 받을 수 없어서’(28.7%),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해서’(17.7%), ‘그때되면 비인기 직업일 것 같아서’(15.5%), ‘위험한 일이라서’(9.3%), ‘수입이 일정치 않아서’(4.6%) 등을 꼽았다.
가장 선호하는 자녀의 직업 1위는 ‘공무원’(18.8%)이었으며, 이어 ‘기술직’(14.1%), ‘회계사 등 전문직’(11.4%), ‘교사, 교수 등 교육자’(8.8%), ‘간호사, 의사 등 의료인’(6.6%), ‘검사, 판사 등 법조인’(5.3%), ‘디자이너, 음악가 등 예술가’(3.5%), ‘과학자’(3.4%) 등이었다.
높은 취업문턱과 경제적인 어려움이 맞물려 자신이 적성에 맞거나 잘할 수 있는 일이 아닌, 취업이 쉽거나 돈을 많이 주는 일을 선택하는 직장인들이 많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자신에게 맞지 않는 일을 하다 보면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은 물론 이직률도 높아질 수 밖에 없다. 평균수명 상승에 따라 일을 하는 시간도 늘어나는 만큼, 오랫동안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온라인뉴스팀 press@diodeo.com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