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석 사퇴 이유는? 야권 “책임추궁설, 개인비리설, 대북노선 갈등설…”
정치 2013/01/14 16:53 입력 | 2013/01/14 19:39 수정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최대석 외교국방통일 위원.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외교국방통일분과 위원인 최대석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장이 자진 사퇴했다. 최 위원은 사의 표명 이후 연락이 두절된 상태이고 인수위는 답변을 내놓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때문에 야권은 책임추궁설, 개인비리설, 대북노선 갈등설 등의 의혹을 제기하며 사실규명을 촉구했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이날 인수위 브리핑에서 “최 위원이 12일 일신상의 이유로 인수위원직 사의를 표명했다”며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구체적인 사퇴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일신상의 이유이기 때문에 더 이상 말씀 드리기는 어렵다”며 “원칙에 따라서 나중에 정해지면 알리겠다”고 말했다. 이어 후속인사에 대해선 “결정되는 대로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인 최 위원은 최재구 전 공화당 의원의 아들로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에서 통일정책 자문역을 맡았다. 허나 그의 갑작스러운 자진 사퇴에 박 당선인이 사의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비리 의혹 등 무슨 문제가 발생한 것 아니냐는 소문이 돌고 있다. 또한 GS그룹 허 씨 일가의 사위로 처가 쪽에 상당한 재산이 있다는 이야기가 들려 사퇴와 관련된 것이 아니냐는 소리도 나왔다.
논란이 확산되자 야당이 14일 최 위원의 사퇴와 관련, 갖가지 의혹을 제기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통합당 김현 대변인은 이날 현안브리핑에서 “해임설도 있고 개인비리설도 있고 대북 노선 갈등설도 있어서 인수위 대변인이 기자들의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한 것 같다”며 “당당하고 떳떳하게 밝히면 될 일인데 이렇게 산성을 쌓아서 인수위가 제 할 일을 할 수 있을지 답답할 뿐”이라고 꼬집었다.
진보정의당 이지안 부대변인도 논평에서 “국가안보실 신설에 관한 최근 보도내용에 대한 책임추궁설, 대북대응 기조에 대한 노선갈등설, 재산과 관련한 개인비리 의혹설, 개인의 과거사설 등 여러 뒷말이 나돌고 있다”며 “인사를 번복 안 하기로 유명한 박근혜 당선인이 최 전 위원의 중도사퇴에 대해 동의해줬다는 것도 납득키 어렵다”고 지적했다.
[디오데오 뉴스=김동호 기자]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이날 인수위 브리핑에서 “최 위원이 12일 일신상의 이유로 인수위원직 사의를 표명했다”며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구체적인 사퇴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일신상의 이유이기 때문에 더 이상 말씀 드리기는 어렵다”며 “원칙에 따라서 나중에 정해지면 알리겠다”고 말했다. 이어 후속인사에 대해선 “결정되는 대로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인 최 위원은 최재구 전 공화당 의원의 아들로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에서 통일정책 자문역을 맡았다. 허나 그의 갑작스러운 자진 사퇴에 박 당선인이 사의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비리 의혹 등 무슨 문제가 발생한 것 아니냐는 소문이 돌고 있다. 또한 GS그룹 허 씨 일가의 사위로 처가 쪽에 상당한 재산이 있다는 이야기가 들려 사퇴와 관련된 것이 아니냐는 소리도 나왔다.
논란이 확산되자 야당이 14일 최 위원의 사퇴와 관련, 갖가지 의혹을 제기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통합당 김현 대변인은 이날 현안브리핑에서 “해임설도 있고 개인비리설도 있고 대북 노선 갈등설도 있어서 인수위 대변인이 기자들의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한 것 같다”며 “당당하고 떳떳하게 밝히면 될 일인데 이렇게 산성을 쌓아서 인수위가 제 할 일을 할 수 있을지 답답할 뿐”이라고 꼬집었다.
진보정의당 이지안 부대변인도 논평에서 “국가안보실 신설에 관한 최근 보도내용에 대한 책임추궁설, 대북대응 기조에 대한 노선갈등설, 재산과 관련한 개인비리 의혹설, 개인의 과거사설 등 여러 뒷말이 나돌고 있다”며 “인사를 번복 안 하기로 유명한 박근혜 당선인이 최 전 위원의 중도사퇴에 대해 동의해줬다는 것도 납득키 어렵다”고 지적했다.
[디오데오 뉴스=김동호 기자]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