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TV토론]이정희의 무차별 폭격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박근혜
정치 2012/12/05 22:23 입력 | 2012/12/05 22:45 수정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지난 4일 열린 대선후보 TV토론에서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선후보와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벌인 날선 공방이 화제다. 특히 현재 이 후보의 무차별 폭격으로 인해 박 후보가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된 형국이라 관심이 더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두 후보의 공방은 ‘정치쇄신 방안’을 묻는 국민질문 후 자유토론 시간부터 시작됐다. 박 후보가 “이 후보와 통합진보당은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지 않고, 애국가도 부르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이 후보는 “당 대표로서 국가 행사의 공식의례에 함께 했고, 방송에도 나왔는데 기억을 못하고 이런 질문을 하는지 이해를 하지 못하겠다”고 응수했다. 특히 그는 박 후보의 실수를 두고 “토론의 기본적 예의와 준비를 갖춰 달라”며 “김석기·이재연이 아닌 이석기 김재연 의원이다”라고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서 이 후보는 새누리당의 반대로 유통법 개정안의 법사위 상정이 무산된 것을 두고 “대형마트를 규제하고 골목상권을 사수하겠다고 했는데, 왜 약속을 하고 벌써부터 안 지키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유통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농어민의 손해가 연간 1조원 이상, 납품업체 손해가 5조원 이상인데다 맞벌이 부부의 불편함이 있어 조정 중에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허나 이 후보가 또 “박 후보가 비정규직을 철폐하겠다고 했는데 (새누리당은) 최저임금을 평균임금 수준인 136만원으로 올리는 법 개정을 가로막았다”고 꼬집었다. 이어서 “말로만 민중을 이해하고 있는 것 같다”며 “빵이 없으면 과자를 먹으면 된다고 말한 마리 앙트와네트와 다름없다”는 다소 파격적인 비유를 했다.
토론회 두 번째 주제인 ‘권력형 비리 근절 방안’에서 이 후보는 “박 후보는 전두환 전 대통령으로부터 6억원을 받아썼다”고 주장했다. 또한 “박 전 대통령이 국가재건최고회의를 동원해서 뺏은 영남대를 물려받아 28세에 이사장을 하지 않았냐”며 “비리가 드러나면 대통령직을 사퇴할 의향이 있냐”고 몰아붙였다. 이에 박 후보는 “뭐든지 드러나면 후보직, 대통령직 사퇴한다는 것은 옳은 태도가 아니다”라며 “6억원은 당시에 아버지께서 흉탄에 돌아가시고 어린 동생과 살길이 막막한 상황에서 경황없는 상황에서 받았다. 나중에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밝혔다.
세 번째 주제인 ‘대북정책 방향’ 토론에서는 박 후보가 “이 후보는 지난 10월 노 전 대통령의 NLL(서해 북방한계선) 포기발언이 사실이라면 박수를 치겠다고 했고, NLL은 영토선이 아니라고 해 목숨을 걸고 NLL을 수호한 장병들을 모욕했다”며 “NLL을 포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냐”라고 이 후보를 공격했다. 이에 이 후보는 “박 전 대통령 시절 영해법을 제정하면서 서해 5도 수역에는 영해선이 그어지지 않은 지도가 있다는 것부터 확인하라”고 받아쳤다.
마지막 주제인 ‘한반도 주변국과의 외교정책 방향’ 토론에서도 이 후보는 쐐기를 박았다. 그가 “외교의 기본은 나라의 주권을 지키는 것”이라며 “충성혈서를 써 일본군 장교가 된 다카기 마사오. 한국 이름 박정희는 4대 매국 한일협정을 밀어붙인 장본인”이라고 비장하게 말한 것이다. 이어 그는 “뿌리는 속일 수 없다”며 “친일독재 후예인 박 후보와 새누리당이 1년 전 한미 FTA를 날치기 통과시켜 경제주권을 팔아넘겼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 후보의 맹비난이 계속되자 심기가 불편해진 박 후보가 “나중에 후보직을 사퇴해도 국고보조금을 받게 되는 도덕적 문제가 있는데 단일화를 주장하며 토론회에 나온 이유가 뭐냐”고 꼬집었다. 이에 이 후보는 “박 후보를 떨어뜨리기 위한 것이다”라고 답해 시청자들을 놀래켰다.
TV토론이 끝난 현재, 이 후보의 공격적인 자세와 박 후보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허나 이 후보가 그간 쉬쉬했던 문제들을 제대로 짚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그런 가운데 다가오는 10일 경제·복지·노동·환경 분야에 대해 2차 TV토론이 열릴 예정이어서 또 한 번 폭풍이 휘몰아칠 것으로 예상된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두 후보의 공방은 ‘정치쇄신 방안’을 묻는 국민질문 후 자유토론 시간부터 시작됐다. 박 후보가 “이 후보와 통합진보당은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지 않고, 애국가도 부르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이 후보는 “당 대표로서 국가 행사의 공식의례에 함께 했고, 방송에도 나왔는데 기억을 못하고 이런 질문을 하는지 이해를 하지 못하겠다”고 응수했다. 특히 그는 박 후보의 실수를 두고 “토론의 기본적 예의와 준비를 갖춰 달라”며 “김석기·이재연이 아닌 이석기 김재연 의원이다”라고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서 이 후보는 새누리당의 반대로 유통법 개정안의 법사위 상정이 무산된 것을 두고 “대형마트를 규제하고 골목상권을 사수하겠다고 했는데, 왜 약속을 하고 벌써부터 안 지키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유통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농어민의 손해가 연간 1조원 이상, 납품업체 손해가 5조원 이상인데다 맞벌이 부부의 불편함이 있어 조정 중에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허나 이 후보가 또 “박 후보가 비정규직을 철폐하겠다고 했는데 (새누리당은) 최저임금을 평균임금 수준인 136만원으로 올리는 법 개정을 가로막았다”고 꼬집었다. 이어서 “말로만 민중을 이해하고 있는 것 같다”며 “빵이 없으면 과자를 먹으면 된다고 말한 마리 앙트와네트와 다름없다”는 다소 파격적인 비유를 했다.
토론회 두 번째 주제인 ‘권력형 비리 근절 방안’에서 이 후보는 “박 후보는 전두환 전 대통령으로부터 6억원을 받아썼다”고 주장했다. 또한 “박 전 대통령이 국가재건최고회의를 동원해서 뺏은 영남대를 물려받아 28세에 이사장을 하지 않았냐”며 “비리가 드러나면 대통령직을 사퇴할 의향이 있냐”고 몰아붙였다. 이에 박 후보는 “뭐든지 드러나면 후보직, 대통령직 사퇴한다는 것은 옳은 태도가 아니다”라며 “6억원은 당시에 아버지께서 흉탄에 돌아가시고 어린 동생과 살길이 막막한 상황에서 경황없는 상황에서 받았다. 나중에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밝혔다.
세 번째 주제인 ‘대북정책 방향’ 토론에서는 박 후보가 “이 후보는 지난 10월 노 전 대통령의 NLL(서해 북방한계선) 포기발언이 사실이라면 박수를 치겠다고 했고, NLL은 영토선이 아니라고 해 목숨을 걸고 NLL을 수호한 장병들을 모욕했다”며 “NLL을 포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냐”라고 이 후보를 공격했다. 이에 이 후보는 “박 전 대통령 시절 영해법을 제정하면서 서해 5도 수역에는 영해선이 그어지지 않은 지도가 있다는 것부터 확인하라”고 받아쳤다.
마지막 주제인 ‘한반도 주변국과의 외교정책 방향’ 토론에서도 이 후보는 쐐기를 박았다. 그가 “외교의 기본은 나라의 주권을 지키는 것”이라며 “충성혈서를 써 일본군 장교가 된 다카기 마사오. 한국 이름 박정희는 4대 매국 한일협정을 밀어붙인 장본인”이라고 비장하게 말한 것이다. 이어 그는 “뿌리는 속일 수 없다”며 “친일독재 후예인 박 후보와 새누리당이 1년 전 한미 FTA를 날치기 통과시켜 경제주권을 팔아넘겼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 후보의 맹비난이 계속되자 심기가 불편해진 박 후보가 “나중에 후보직을 사퇴해도 국고보조금을 받게 되는 도덕적 문제가 있는데 단일화를 주장하며 토론회에 나온 이유가 뭐냐”고 꼬집었다. 이에 이 후보는 “박 후보를 떨어뜨리기 위한 것이다”라고 답해 시청자들을 놀래켰다.
TV토론이 끝난 현재, 이 후보의 공격적인 자세와 박 후보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허나 이 후보가 그간 쉬쉬했던 문제들을 제대로 짚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그런 가운데 다가오는 10일 경제·복지·노동·환경 분야에 대해 2차 TV토론이 열릴 예정이어서 또 한 번 폭풍이 휘몰아칠 것으로 예상된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