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 29일 발사 취소’ 원인은 유압 펌프 이상
경제 2012/11/29 21:09 입력

연합뉴스 제공
나로호의 세 번째 도전이 전기모터로 작동하는 유압 펌프의 이상으로 또 한 번 발사취소됐다.
항공우중연구원은 지난 29일 링 모양의 러시아산 고무 실 파손으로 한 차례 발사가 연기된 데 이어 29일 오후 4시 8분 나로호 발사 중지를 선언했다.
오후 1시 30분 발사 최종시각이 오후 4시로 확정됐고, 오후 1시 58분부터 절차가 차례대로 차근차근 진행됐지만 자동 카운트다운 돌입을 약 1분 앞둔 오후 3시 44분 발사운용 절차가 갑자기 멈춰섰다.
로켓 상단(2단) 추력방향제어기 점검 과정에서 전기신호 이상이 감지됐기 때문.
추력방향제어기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2단 로켓 아래 깔때기 모양으로 붙어있는 ‘노즐’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고, 제어기는 전기모터가 만드는 유압으로 작동하는데 이 펌프를 제어하는 전기상자에서 보통 보다 수백 밀리암페어 많은 전류가 소모되는 현상이 발견됐다.
이에 조광래 항공우주연구원 나로호발사추진단장은 “전기상자를 뜯어 원인을 살피려면 1단과 2단을 분리 해야 하기에 결국 발사 준비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결국 다음 달 5일로 준비된 발사 예정 기한 내 재발사는 사실상 불가능하며, 연내 3차 발사 시도 가능성까지 불투명해졌다.
결국 발사 중단과 연기가 거듭되자 당국 고위관계자들은 직접 국민 앞에 머리를 숙였으며 “성원을 보내주신 국민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발사를 연기하게 되어 안타깝고, 나로호 3차 발사를 반드시 성공 시키도록 노력하겠다”며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밝혔다.
한편, 대한민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는 100kg급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로 1단 액체엔진(러시아 개발)과 2단 고체 킥모터(국내 개발)로 구성된 2단형 발사체다.
이정은 기자 [email protected]
항공우중연구원은 지난 29일 링 모양의 러시아산 고무 실 파손으로 한 차례 발사가 연기된 데 이어 29일 오후 4시 8분 나로호 발사 중지를 선언했다.
오후 1시 30분 발사 최종시각이 오후 4시로 확정됐고, 오후 1시 58분부터 절차가 차례대로 차근차근 진행됐지만 자동 카운트다운 돌입을 약 1분 앞둔 오후 3시 44분 발사운용 절차가 갑자기 멈춰섰다.
로켓 상단(2단) 추력방향제어기 점검 과정에서 전기신호 이상이 감지됐기 때문.
추력방향제어기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2단 로켓 아래 깔때기 모양으로 붙어있는 ‘노즐’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고, 제어기는 전기모터가 만드는 유압으로 작동하는데 이 펌프를 제어하는 전기상자에서 보통 보다 수백 밀리암페어 많은 전류가 소모되는 현상이 발견됐다.
이에 조광래 항공우주연구원 나로호발사추진단장은 “전기상자를 뜯어 원인을 살피려면 1단과 2단을 분리 해야 하기에 결국 발사 준비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결국 다음 달 5일로 준비된 발사 예정 기한 내 재발사는 사실상 불가능하며, 연내 3차 발사 시도 가능성까지 불투명해졌다.
결국 발사 중단과 연기가 거듭되자 당국 고위관계자들은 직접 국민 앞에 머리를 숙였으며 “성원을 보내주신 국민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발사를 연기하게 되어 안타깝고, 나로호 3차 발사를 반드시 성공 시키도록 노력하겠다”며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밝혔다.
한편, 대한민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는 100kg급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로 1단 액체엔진(러시아 개발)과 2단 고체 킥모터(국내 개발)로 구성된 2단형 발사체다.
이정은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