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공론조사 반대…‘민주당의 세몰이는 공정, 조사는 불공정?’
정치 2012/11/21 15:03 입력 | 2012/11/21 15:40 수정

100%x200

사진=연합뉴스

100%x200

사진=연합뉴스

야권2인방이 단일화를 위한 공론조사의 ‘세부사항’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여론은 안 후보 측이 과한 요구를 했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지만, 일각에선 문 후보 측이 이 문제를 너무 부각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앞서 협상테이블에서 안 후보 측은 공론조사에 대해 문 후보 측으로 민주당 중앙대의원을, 안 후보 측으로는 후원자 및 펀드 참여자 중 1만4천명의 배심원을 추출해 배심원단 중 각각 3천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자고 주장했다. 허나 문 후보 측의 거부로 무산됐다.



이후 양측의 설전이 장외에서도 이어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양측이 ‘공론조사 무산’에 대해 각각 방송에서도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나선 것이다.



먼저 민주통합당 정청래 의원은 이날 MBN `뉴스 M`에 출연해 “문 후보의 약점을 알고 제안한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문재인 후보가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간신히 과반을 득표해서 후보가 됐다”며 “문 후보에 대한 서운함을 가진 사람도 많은데 그 분들을 합쳐놓고 공론조사를 하자는 것은 안 후보가 50미터를 먼저 출발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서 “민주당원이 아니라 지역별·연령별·성별로 비례를 잘 맞춰서 조사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 측 송호창 공동선대본부장은 해석방법에 따라 다르다며, 문 후보 측이 이번 제안을 너무 부정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고 맞섰다. 그는 이날 YTN라디오 ‘김갑수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문 후보는 공당의 후보라는 점을 많이 말했기 때문에 당원이나 대의원 중에서 샘플링(표본추출)하는 것에 문제제기하는 건 당원을 스스로 믿지 못한다는 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그 문제는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공정성이 있다고 볼 수도 있고 없다고 볼 수도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 특히 “방법에 문제가 있다면 재론을 하고 다른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면서 “이걸로 자꾸 논란을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



이로써 안 후보 측이 제안한 공론조사는 세부사항을 둘러싼 논란 때문에 사실상 무산됐다. 허나 민주당 의원을 통한 공론조사는 불공정하고 민주당의 ‘세몰이’는 공정한 것인지는 생각해 볼만한 문제이다. 특히 세몰이를 인정하면 새누리당의 영향력마저 인정하게 되는 셈이기 때문에 쉽게 답을 내릴 수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두 후보는 여론조사 실시에는 동의했고, 오늘 밤 TV토론도 열릴 예정이다. 결국 단일화를 위해 조금씩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단일화가 진정한 화합으로 이어져 ‘정치개혁’의 시발점이 될 수 있을지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