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에게 치명적인 RS바이러스 유행 시작
경제 2011/10/21 14:08 입력 | 2011/10/21 14:15 수정

▲ 출처 : 네이쳐닷컴 (RS Virus)
선천성 심장병 어린이나 미숙아 등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RS(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발생이 급격히 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감기 등 급성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 가운데 5세 이하 영유아들에게서 RS 바이러스 발생이 급격하게 늘어 가을철 유행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4주간 검출된 호흡기 바이러스의 23.0%(90건/391건)가 RS바이러스이었는데, RS바이러스가 검출된 환자의 98%(88명/90명)는 5세 이하 영유아였고, 특히 1세 미만의 유아에게 높은 발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RS바이러스는 만 2세까지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이 잘 되며, 한 번 감염되면 평생 동안 지속적으로 재감염 된다. 성인에서는 경한 감기로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면역저하자 또는 노인 연령층에서 중증 감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 5세 미만 감염 시 입원률이 높으며, 생후 3개월째가 감염 후 입원률이 가장 높은 연령이다.
증상으로는 잠복기 2~8일으로 아기들이 RS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재채기, 코막힘이나 콧물, 인후통과 발열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낸다. 하지만 매우 빠른 속도로 쌕쌕거리거나 기침을 심하게 하고, 숨쉬기 어려워하거나 빠르게 호흡하며, 피부색이 청색 및 회색을 띠게 되며, 먹거나 마시고 잠자기 힘들어 하는 등의 증상으로 발전 될 수 있다.
신경계와 심장, 폐질환, 면역질환 등을 갖고 있거나 아기가 어릴수록 RS바이러스로 인한 모세기관지염이 발생할 경우 사망 위험률이 증가하지만,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할 경우 사망률을 2%정도이다. RS바이러스는 1세 미만 유아 사망의 주 원인으로, 1세 미만 유아 10만 명당 연간 사망률은 인플루엔자감염으로 인한 사망보다 약 1.3~2.3배 높다.
질병관리본부가 RS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킬 것을 권고 했다.
아기를 만지기 전에 누구나 반드시 손을 닦을 것
아기에 걸린 사람들과 아기가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할 것
아기가 사람이 많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
아기의 장난감과 이불을 자주 세척할 것
아기를 간접흡연으로부터 보호할 것
유아용 젖꼭지나 식기, 칫솔, 수건 등 개인적 물품들은 같이 사용하지 말 것
허상현 기자 [email protected]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감기 등 급성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 가운데 5세 이하 영유아들에게서 RS 바이러스 발생이 급격하게 늘어 가을철 유행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4주간 검출된 호흡기 바이러스의 23.0%(90건/391건)가 RS바이러스이었는데, RS바이러스가 검출된 환자의 98%(88명/90명)는 5세 이하 영유아였고, 특히 1세 미만의 유아에게 높은 발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RS바이러스는 만 2세까지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이 잘 되며, 한 번 감염되면 평생 동안 지속적으로 재감염 된다. 성인에서는 경한 감기로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면역저하자 또는 노인 연령층에서 중증 감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 5세 미만 감염 시 입원률이 높으며, 생후 3개월째가 감염 후 입원률이 가장 높은 연령이다.
증상으로는 잠복기 2~8일으로 아기들이 RS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재채기, 코막힘이나 콧물, 인후통과 발열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낸다. 하지만 매우 빠른 속도로 쌕쌕거리거나 기침을 심하게 하고, 숨쉬기 어려워하거나 빠르게 호흡하며, 피부색이 청색 및 회색을 띠게 되며, 먹거나 마시고 잠자기 힘들어 하는 등의 증상으로 발전 될 수 있다.
신경계와 심장, 폐질환, 면역질환 등을 갖고 있거나 아기가 어릴수록 RS바이러스로 인한 모세기관지염이 발생할 경우 사망 위험률이 증가하지만,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할 경우 사망률을 2%정도이다. RS바이러스는 1세 미만 유아 사망의 주 원인으로, 1세 미만 유아 10만 명당 연간 사망률은 인플루엔자감염으로 인한 사망보다 약 1.3~2.3배 높다.
질병관리본부가 RS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킬 것을 권고 했다.
아기를 만지기 전에 누구나 반드시 손을 닦을 것
아기에 걸린 사람들과 아기가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할 것
아기가 사람이 많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
아기의 장난감과 이불을 자주 세척할 것
아기를 간접흡연으로부터 보호할 것
유아용 젖꼭지나 식기, 칫솔, 수건 등 개인적 물품들은 같이 사용하지 말 것
허상현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