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극우파, 美 신문에 왜곡광고 ‘한국 위안부는 장군보다 돈 많이 번 창녀들’
정치 2012/11/09 15:43 입력 | 2012/11/09 15:55 수정

출처:커뮤니티
일본의 극우파들이 한국에 맞대응 하겠다며 미국 신문에 “한국 위안부는 자발적인 창녀이며 일본 정부는 민간 브로커들의 불법을 오히려 단속했다”고 왜곡하는 광고를 실어 파장이 일고 있다.
지난 4일 뉴저지의 유력 일간지 스타레저(Star ledger)에는 한국“위안부 모집은 일반 브로커들이 했으며 일본 정부는 브로커들을 단속했다”며 “성 노예는 존재하지 않았고 직업적인 창녀들의 수입은 장군의 월급을 능가했다”고 주장하는 전면 광고를 실었다.
이 광고는 일본의 극우파들이 낸 광고로 서경덕 교수와 가수 김장훈씨가 뉴욕 타임즈 등 유력 매체에 게재한’당신은 기억하십니까? (Do You Remember?)’ 광고에 반박하는 광고로 '그래 우리는 그 사실들을 기억한다(Yes, We Remember the facts)’라고 실었다.
광고에는 ‘세 가지 팩트’에 대한 관련 문서와 신문기사들을 곁들이고 있으며 영화제목을 패러디한 ‘섹스 그리고 거짓말 그리고 위안부’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동영상 링크까지 안내하고 있다.
세가지 팩트 중 첫 번째는 일본군대는 위안부 모집을 금지 했다며 1938년 3월4일자 ‘일본군 2197 문서’를 공개하며 일반 브로커들이 위안부 모집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팩트는 1939년 8월31일자 동아일보 기사를 첨부하며 ‘농촌 부녀자를 유괴 피해여성 100명 돌파’ 했다며 “이 당시 한국은 일본의 지배 하에 있었고 결과적으로 일본정부가 이런 범죄 사실에 강력한 대응을 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세 번째 팩트는 “합법적인 매춘부들은 어느 전쟁이나 존재했다. 좋은 대접을 받았고 장군의 월급보다 많이 벌었다”며 “어린 여성을 성 노예로 끌고 갔다거나 20세기 최대의 인신매매 범죄라고 우기는 것은 일본 군대를 고의로 훼손하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달 26일 뉴저지주 팰리세이즈파크에 있는 위안부 기림비에 ‘말뚝테러’가 발생했고 뉴욕 총 영사관 민원실 건물의 현판에는 ‘다케시마(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스티커가 이틀 연속 발견되는 등 극우파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사건들이 연일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김대희 기자 [email protected]
지난 4일 뉴저지의 유력 일간지 스타레저(Star ledger)에는 한국“위안부 모집은 일반 브로커들이 했으며 일본 정부는 브로커들을 단속했다”며 “성 노예는 존재하지 않았고 직업적인 창녀들의 수입은 장군의 월급을 능가했다”고 주장하는 전면 광고를 실었다.
이 광고는 일본의 극우파들이 낸 광고로 서경덕 교수와 가수 김장훈씨가 뉴욕 타임즈 등 유력 매체에 게재한’당신은 기억하십니까? (Do You Remember?)’ 광고에 반박하는 광고로 '그래 우리는 그 사실들을 기억한다(Yes, We Remember the facts)’라고 실었다.
광고에는 ‘세 가지 팩트’에 대한 관련 문서와 신문기사들을 곁들이고 있으며 영화제목을 패러디한 ‘섹스 그리고 거짓말 그리고 위안부’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동영상 링크까지 안내하고 있다.
세가지 팩트 중 첫 번째는 일본군대는 위안부 모집을 금지 했다며 1938년 3월4일자 ‘일본군 2197 문서’를 공개하며 일반 브로커들이 위안부 모집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팩트는 1939년 8월31일자 동아일보 기사를 첨부하며 ‘농촌 부녀자를 유괴 피해여성 100명 돌파’ 했다며 “이 당시 한국은 일본의 지배 하에 있었고 결과적으로 일본정부가 이런 범죄 사실에 강력한 대응을 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세 번째 팩트는 “합법적인 매춘부들은 어느 전쟁이나 존재했다. 좋은 대접을 받았고 장군의 월급보다 많이 벌었다”며 “어린 여성을 성 노예로 끌고 갔다거나 20세기 최대의 인신매매 범죄라고 우기는 것은 일본 군대를 고의로 훼손하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달 26일 뉴저지주 팰리세이즈파크에 있는 위안부 기림비에 ‘말뚝테러’가 발생했고 뉴욕 총 영사관 민원실 건물의 현판에는 ‘다케시마(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스티커가 이틀 연속 발견되는 등 극우파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사건들이 연일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김대희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