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안철수 회동에서 합의한 ‘투표시간 연장’, 새누리당의 입장은?
정치 2012/11/07 15:23 입력 | 2012/11/07 23:49 수정

100%x200

사진제공=연합뉴스

100%x200

사진제공=연합뉴스

무소속 안철수,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가 6일 전격 회동함에 따라, 그 결과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 중 특히 ‘투표시간 연장을 위한 캠패인’을 공동으로 진행하겠다고 해 귀추가 주목된다.



앞서 야권2인방은 국민 참정권 보장을 내세우며 ‘투표시간 연장’을 줄기차게 주장해왔다.



이에 새누리당 이정현 공보단장이 지난달 29일 입장을 밝혔다. 그는 “대선후보로 나선 사람이 혈세 150억원을 먹고 튀는 것을 방치하는 것은 문명국가가 아니다”며 “대선후보가 국민 혈세를 먹고 튀는 것을 막기 위한 ‘먹튀 방지법’과 ‘투표시간 연장법’을 동시에 국회에서 논의, 처리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러자 민주통합당은 같은 달 31일 민주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문 후보는 새누리당 요구를 대승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며 “정당의 이익보다 국민 참정권을 지키는 것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특히 “투표시간 연장법안과 동시에 처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문재인 캠프는 ‘투표시간 연장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새누리당이 제안한 ‘선거보조금 환수법안’을 전격 수용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그런데 새누리당은 막상 민주당이 자신들의 제안을 수용하자 다른 입장을 내 놓았다. 박선규 선대위 대변인은 “이정현 공보단장의 제안은 공식 입장이 아니라 개인 입장”이라며 선을 그었다. 이어서 이한구 원내대표도 “두 사안을 맞교환하자는 건 정략적 접근”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도 투표시간 연장에 대해 “100억 원 정도 예산이 들어가는데 그럴 가치가 있느냐는 논란이 있다”며 반대 의사를 밝힌바 있다. 허나 자신의 최측근이 이같이 말을 바꾸자 도리어 본인까지 비판을 당하는 모양새가 됐다.



여당이 이런 주장을 펼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추측 되고 있다. 첫째는 문 후보가 후보 등록 후 무소속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경선에서 패배, 후보직에서 물러난다 해도 선거보조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막기 위한 것이다. 둘째는 투표시간 연장이 젊은층의 투표를 독려해 야권2인방의 지지율 상승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써 여당은 ‘선거보조금 환수법안, 투표시간 연장법안’에 대한 ‘입장 변경’논란에 빠진 상태다. 그런 가운데 야권2인방이 양자회동을 통해 투표시간 연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암시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는 야권2인방의 단일화에 관심이 집중되자, “대통령 4년 중임제를 도입하겠다”며 과감한 공약을 내걸었다. 허나 이에 대해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이 “유신헌법의 아류”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