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나로호 발사성공’을 빌미로 3차 핵실험에 나서나?
정치 2013/01/31 19:35 입력 | 2013/01/31 19:59 수정

100%x200

북한 선전화. 사진=연합뉴스

100%x200

나로호 발사. 사진=연합뉴스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Ⅰ)가 발사에 성공했다. 이에 전 세계에서 이 사실을 일제히 보도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만이 침묵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그런 가운데 외신은 북한이 나로호 발사 성공을 빌미로 핵실험을 강행할 수 있다고 보도해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2013년 1월 30일 오후 4시, 나로과학위성은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나로호에 실려 발사된 뒤 9분만에 고도 2천50㎞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정상 진입했다. 31일 오전 3시 28분, 나로과학위성은 마침내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다. 이어 5시 11분 두 번째 교신에서도 신호를 정상적으로 주고받았는데, 이때 위성의 회전율이 낮아 안정적으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의 나로호 발사 성공이 확정되자 북한의 반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 일단은 침묵하고 있다. 북한이 앞서 은하 3호 발사 성공 이틀 뒤 조선중앙방송을 통해 “조선은 우주분야에서 남조선을 앞서고 있다”며 “남조선이 나로호 위성발사를 연기한 시기에 조선은 위성발사에 성공했다”고 강조했을 때와 확연히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앞서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 26일 “한쪽(한국)에서는 자주적인 위성발사가 포악한 적대적 조치의 대상이 되고, 한쪽(북한)에서는 대국들의 힘을 빌려 감행하는 위성발사가 아주 정정당당한 일로 평가되는 대조상태가 펼쳐지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었다.



그런 가운데, 외신들은 북한이 한국의 나로호 발사를 빌미로 핵실험을 강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31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한국의 나로호 발사 성공에 “북한이 3차 핵실험을 위한 구실로 삼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NHK 방송도 “북한은 작년 12월의 인공위성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비난 결의를 받아 강하게 반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CNN 방송도 북한이 나로호의 성공을 빌미로 중국에 압박을 가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전했다. 중국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한국, 나로호에 대해 즐거워만 말고 다른 것들도 생각해야 한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최근 한반도 정세는 혼란이 가중되고 있으며 북한의 제3차 핵실험이라는 새로운 위험요소가 폭발 직전에 있다”고 경고했다.



그런가 하면 뉴욕타임스(NYT)는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북한의 실제 핵무기 역량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미 정부 일각에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미 정부는 지난 2009년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추방 등으로 인해 북한 핵개발에 대해 정보를 얻을 수단을 상당 부분 상실했다. 그러나 이번 핵실험을 통해 북한이 기존의 플루토늄 기반 핵폭탄 외에도 우라늄기반 핵폭탄을 생산 가능한지, 또 핵폭탄이 북한의 장거리 로켓에 탑재 가능할 정도로 소형화가 됐는지 등 핵심적인 의문에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NYT는 기대했다.



결과적으로 나로호 발사 성공에 한국은 기뻐하고 있으나, 북한은 이를 빌미로 핵실험을 강행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전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디오데오 뉴스=김동호 기자]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