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비치는 부재자투표 봉투, 대처법은? ‘접기 전에 꼭…’
정치 2012/12/14 10:03 입력 | 2012/12/14 10:21 수정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전등이나 햇빛에 비춰보면 속이 훤히 보이는 ‘부재자투표 회송용 봉투’가 뜨거운 감자다. 여론은 ‘비밀투표 원칙을 훼손했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고,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는 몇까지 이유를 들며 ‘괜찮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손쉬운 대처법에 유권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단 광주 동구와 남구 선거관리위원회가 제작 발송한 부재자 투표 회송용 봉투가 속이 비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봉투의 색깔이 지나치게 연해 잘 살펴보면 누굴 찍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재 이와 같은 투표용지가 동구는 2612명(거소투표자 268명), 남구는 5932명(거소투표자 391명)에게 발송된 상황이다.
논란이 확산되자 광주시 선거관리위원회는 “봉투 안이 비치더라도 투표자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지 않아 혹시 볼 수 있더라도 누가 찍었는지 알 수 없다”며 “또 투표용지를 접어버리면 보이지도 않고 참관인이 투표 과정을 모두 지켜보기 때문에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허나 투표용지를 접기 전에 잉크가 잘 말랐는지 확인을 해야 한다. 잘못하면 무효처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선관위가 이번 논란에 대해 안이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일이 투표조작이나 여론조사 등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부재자 투표 중 거소투표자는 투표소에서 투표하지 않고 우편을 통해 발송하기 때문에 ‘비밀투표 원칙’이 지켜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처럼 논란이 확산됨에도 불구하고 선관위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에 부재자 투표인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광주와 전남지역은 57곳에서 부재자 투표가 진행되고 있는데, 광주 지역의 부재자 신고인수는 총 3만6630명이고 전남은 6만3028명이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일단 광주 동구와 남구 선거관리위원회가 제작 발송한 부재자 투표 회송용 봉투가 속이 비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봉투의 색깔이 지나치게 연해 잘 살펴보면 누굴 찍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재 이와 같은 투표용지가 동구는 2612명(거소투표자 268명), 남구는 5932명(거소투표자 391명)에게 발송된 상황이다.
논란이 확산되자 광주시 선거관리위원회는 “봉투 안이 비치더라도 투표자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지 않아 혹시 볼 수 있더라도 누가 찍었는지 알 수 없다”며 “또 투표용지를 접어버리면 보이지도 않고 참관인이 투표 과정을 모두 지켜보기 때문에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허나 투표용지를 접기 전에 잉크가 잘 말랐는지 확인을 해야 한다. 잘못하면 무효처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선관위가 이번 논란에 대해 안이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일이 투표조작이나 여론조사 등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부재자 투표 중 거소투표자는 투표소에서 투표하지 않고 우편을 통해 발송하기 때문에 ‘비밀투표 원칙’이 지켜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처럼 논란이 확산됨에도 불구하고 선관위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에 부재자 투표인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광주와 전남지역은 57곳에서 부재자 투표가 진행되고 있는데, 광주 지역의 부재자 신고인수는 총 3만6630명이고 전남은 6만3028명이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