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TV토론이 실종된 이유는 박근혜의 거부? ‘가장 큰 피해자는 안철수’
정치 2012/11/29 01:21 입력 | 2013/02/04 18:25 수정

100%x200

사진=연합뉴스

100%x200

사진=연합뉴스

[디오데오뉴스 = 김동호 기자] 18대 대통령선거를 20일 남겨둔 이 시점, 제대로 된 토론이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은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물론 TV토론이 여러 차례 열리긴 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의 단일화를 위한 토론과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의 ‘토크쇼’가 방영됐었다. 그리고 후보마다 각각 한국기자협회와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가 실시됐다.



허나 불과 얼마 전 미국 대선판국을 뒤흔들었던 오바마와 롬니가 벌인 진짜 토론은 한국에선 왜 실종되었는가?



가장 큰 이유로는 바로 박 후보의 일관성 있는 토론거부다. 그에게는 언제나 명확한 이유가 있었다. 안 후보가 ‘신드롬’을 일으키며 나타났을 때는 끝까지 토론을 거부하며 “야권 후보가 결정되면 언제든 토론에 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결국 야권2인방을 단일화 판국으로 내몰게 된다. 허나 단일화 토론이 확정되자 박 후보는 “권력 게임일 뿐”이라며 강력하게 비난하는 모순적인 자세를 취하기도 했다.



어쨌거나 토론회는 진행되고 그간 기득권인 여야당을 비판하며 ‘정치개혁’을 주장해오던 안 후보는, ‘정권교체’를 위해 야당과 손을 잡으며 자신의 가장 큰 슬로건을 수정하게 된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안 후보에게서 더 이상 참신함은 찾아볼 수 없게 됐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그는 민주당의 세몰이와 문 후보의 ‘양보 공세’에 시달리게 된다. 이 모든 일들이 그의 지지율을 끌어 내리고, 결국 눈물을 흘리며 사퇴를 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언뜻 보면 문 후보의 기선제압으로 인해 안 후보가 퇴장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사실상 가장 큰 이유는 TV토론을 거부하며 공정한 경쟁을 할 기회조차 주지 않은 박 후보다. 그의 입장에선 여론조사 결과상 안 후보와의 양자대결에서 조금씩 뒤처지는 모양새였기 때문에 ‘토론거부’라는 한 수로 강력한 라이벌을 탈락시킨 것이다.



여하튼 문 후보는 야권단일후보가 되었다. 이에 그는 기다렸다는 듯이 ‘양자토론’압박에 들어갔다. 물론 이 제안은 방송사들이 먼저 했다. 허나 박 후보는 또다시 모조리 거절한다. 먼저 SBS가 27일 양자 토론을 제안했지만 무산됐고, KBS도 양쪽에 29일 정치·외교 분야 토론과 30일 경제·사회 분야 양자 토론을 제안했지만 성사되지 않은 것이다.



이에 문 후보 측 우상호 공보단장은 이제 문 후보가 야권단일후보라며 “동원형 유세보다 정책비전 중심으로 어느 후보가 적임자인지를 국민에게 보여줘야 한다는 점에서 TV토론 제안을 즉각 받으라”고 촉구했다. 특히 박광온 대변인은 “박 후보는 ‘가짜 국민 면접’만 하지 말고 ‘진짜 국민 면접’에 응하라”며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토론거부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자 박 후보 측 박선규 대변인이 “모든 유세 일정이 치밀하게 차 있는 상태라 일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수습에 나섰다. 이어서 “상대 후보가 너무 늦게 결정되면서 시간이 촉박해졌고 국민께 선택의 기회를 드릴 수 있는 조건 자체가 무너졌기 때문”이라며 오히려 야권을 탓했다.



결국 대한민국의 박근혜 대통령 후보는 아주 일관되게 TV토론은 거부하고 있는 모양새다. 허나 도가 지나치자 일각에선 박 후보가 과거 이명박 대통령과의 토론에서 일으킨 각종 논란이 그에게 ‘아킬레스건’이 된 게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온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박 후보는 ‘토론거부’라는 묘책으로 안 후보 퇴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현재 문 후보에 맞서 또다시 같은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에 이번에도 비슷한 상황이 반복될지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선관위에 따르면 대선후보 TV토론이 처음으로 도입된 15대 대선에서는 모두 12차례의 토론이 열렸다. 16대 대선에서는 83차례, 17대는 44차례의 대선후보 대담과 토론회가 실시됐다. 허나 이번 18대 대선은 박 후보의 거부 때문에 제대로 된 토론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초청해 실시하는 단 세 차례가 될지도 모르겠다.





김동호 기자 [email protected]



뉴스&핫이슈! 디오데오(www.diodeo.com)
Copyrightⓒ 디오데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